[전기기능사 실기] 시퀀스 회로 테스트 방법#1 (5분 점검)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은 회로 구성 후 작동이 되지 않으면 바로 불합격이 되는 가차 없는 시험입니다. 아무리 제어회로를 깔끔하게 만들고, 다른걸 다 잘했다고 해도 막상 전원을 넣고 작동이 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회로 구성 후 반드시 제대로 구성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또 확인을 해야 합니다. 실제 시험처럼 각 종 소켓에 기구를 끼우고, 220v 전원을 넣어서 작동 유무를 확인하면 좋겠지만 쉬운 방법은 아닙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실기를 준비하는 분들은 벨 테스터를 이용해서 확인을 합니다. 제어판 구성 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5분 점검)과 벨 테스터를 어떤식으로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실제 시험장에서는 배관작업까지 완료 후 벨 테스터를 이용해 확인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제어판.. 2020. 8. 5.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준비편#2 (벨 테스터 점프선 만들기) 오늘은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준비에서 꼭 필요한 벨 테스터 점프선 만들기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벨 테스터 점프선이란 벨 테스트(삑삑이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점프선 입니다. 제어판 작업과 배관작업을 완료했다면, 최종적으로 제어선 작업이 제대로 되었는지, 푸시버튼이나, 램프 결선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남는 시간만큼 확인하고 또 확인하고 점검해야 합니다. 다른 시험들과 다르게 전기기능사 시험은 작동이 되지 않는다면 이유 불문하고 바로 불합격이기 때문입니다. 부분점수, 이런 거 없이 미작동시 바로 불합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동이 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예전 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저는 독학으로 전기기능사 실기.. 2020. 7. 30.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준비편 #1 오늘은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준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7월에 필기시험을 보고, 합격 확인 후 실기시험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저처럼 실기시험을 혼자 준비하고 있거나, 기능사 시험을 준비 예정인 분들을 위해 몇 가지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TIP 1. 실기재료 준비 실기 시험을 준비하려면 시험 자재들이 필요한데요, 학원이야 알아서 챙겨주지만 독학은 스스로 챙겨야 합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전기기능사 실기 재료"라는 제목으로 묶어서 판매하는 곳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이트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홈페이지마다 가격이 다른 이유는, 어떤 곳은 새제품을 파는 경우도 있고, 어떤 곳은 새 거 같은 중고품을 파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연습 목적으로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 제품을 굳이 사야 할 .. 2020. 7. 24. [전기기능사]비전공자, 전기 기능사 필기 합격 공부방법. 전기 관련 자격증은 관련학과 출신이 아니거나, 일반인이 공부를 하게 되면 생소한 용어, 복잡한 계산식 등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데요, 저도 비전공자로서 처음에 어디서부터 공부를 해야 되는지 난감하고 감을 못 잡았는데요. 유튜브도 참고하고, 실제로 붙은 사람들 수기도 들어보고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해보면서 느낀 걸 바탕으로 빠르게 필기시험을 공부하고 합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100점을 위해 공부하는 게 아니다! 자격증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면 제일 처음 나오는 말입니다. 100점을 맞기 위해서 공부하는게 아니라, 최소 합격에 필요한 점수를 위해 공부한다. 전기기능사 같은 경우 100점 만점에 60점을 넘기면 합격입니다. 총 60문항의 문제가 나오.. 2020. 7.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